반응형 전체 글69 ETF 매매 시 유동성과 체결 리스크, 실전에서 주의할 점 ETF는 주식처럼 쉽게 매수·매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ETF가 동일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거래량이 적거나 시장 참여자가 적은 ETF는 체결이 어렵거나 원하지 않는 가격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유동성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전 매매 시 주의할 대표적인 요소들을 정리해봅니다.1. ETF 유동성은 거래량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ETF의 유동성은 단순한 ‘거래량’보다 더 복합적인 개념입니다.- ETF 자체의 시장 거래량 (2차 시장 유동성)- ETF가 보유한 기초 자산의 유동성 (1차 시장 유동성)ETF는 기본적으로 시장조성자(MM)가 순자산가치(NAV)에 맞게 호가를 공급하지만, 거래량이 너무 적거나 시장조성자가 소극적이면 호가가 비정상적으로 벌어질 수 있습니다.즉, .. 2025. 4. 25. ETF의 괴리율과 추종오차란? 실제 수익률과 다른 이유 ETF는 특정 지수나 자산의 가격 흐름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 실제 체감하는 수익률이 지수의 등락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핵심 개념이 바로 ‘괴리율’과 ‘추종오차’입니다. ETF 구조를 이해하려면 이 두 요소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1. 괴리율이란?괴리율은 ETF의 시장 거래 가격과 순자산가치(NAV)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ETF는 실시간으로 거래되지만, 그 기초 자산의 가치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계산됩니다.예를 들어, 기초 지수는 그대로인데 ETF 가격이 수급에 따라 높게 형성되면 괴리율이 ‘양(+)’으로 나타납니다. 반대로 ETF가 실제 가치보다 낮게 거래되면 ‘음(−)’의 괴리율이 발생합니다.2. 추종오차란?추종오차는.. 2025. 4. 24. 레버리지·인버스 ETF란? 파생상품과 연결된 구조의 이해 ETF는 특정 지수나 자산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그중에서도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는 지수를 단순히 따라가기보다는 지수 변동률을 확대하거나 반대로 움직이도록 설계된 구조를 가집니다. 이 상품들은 대부분 선물 계약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고수익을 노리는 대신 구조적 위험도 함께 존재합니다.1. 레버리지 ETF의 구조레버리지 ETF는 지수의 일일 변동률을 2배 또는 그 이상으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이 하루 동안 1% 상승하면 KODEX 레버리지 ETF는 약 2% 상승하도록 만들어집니다.이러한 수익률 구조는 선물 계약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확대된 포지션을 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ETF 운용사는 투자자의 자금(예: 100억원)을 기반으로 코스피200 선물을.. 2025. 4. 23. 프로그램 매매란? 자동 거래의 원리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 프로그램 매매는 컴퓨터 시스템이 정해진 조건에 따라 주식을 자동으로 사고파는 매매 방식입니다. 단순히 선물과 현물의 차익거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펀드 자금 이동, 리밸런싱, 알고리즘 전략 등 다양한 목적과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시장 전체 수급에 영향을 줄 만큼 규모가 크고,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급등락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1. 프로그램 매매의 기본 개념프로그램 매매는 사람이 수동으로 주문을 내지 않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특정 가격, 거래량, 지표의 움직임에 반응하거나 지수의 상승·하락에 따라 자동으로 매수/매도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2. 프로그램 매매의 유형1) 차익거래형: 선물과 현물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해 무위험 수익을 노리는 구조로, 주로 선물 매.. 2025. 4. 22. 선물과 현물은 어떻게 연결될까? 프로그램 매매의 원리 선물은 지수의 미래 가격을 거래하는 상품이고, 현물은 실제 주식을 사고파는 시장입니다. 처음 접하면 선물과 현물이 별개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두 시장이 긴밀하게 연동되어 움직이며, 그 중심에는 프로그램 매매가 있습니다. 특히 선물 가격이 현물 지수에 영향을 주는 핵심 구조는 바로 '차익거래'에 있습니다.1. 선물과 현물의 기본 차이- 선물: 미래에 지수를 정해진 가격에 거래하겠다는 계약- 현물: 지금 당장 실제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예를 들어 코스피200 선물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으로 구성된 코스피200 지수의 미래 가치를 사고파는 상품입니다. 따라서 선물 가격은 코스피200 지수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며, 두 가격의 차이를 이용한 전략이 시장에서 활발히 사용됩니다.2. 차익거래의 원리차익거.. 2025. 4. 21. 선물·옵션 만기일, 실제 시장에서는 이렇게 움직인다 선물과 옵션의 만기일은 단순한 제도적 시점을 넘어 시장에 실제 수급과 가격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이밍입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이 대규모 파생 포지션을 정리하거나 옮기는 과정에서 지수, 대형주, 레버리지 ETF 등에 예상치 못한 변동성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만기일 전후에 실제로 어떤 움직임이 나타나는지 사례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1. 만기일 전날, 외국인 선물 포지션 청산실제 시장에서는 만기일 당일보다 그 전날부터 수급이 급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인이 보유 중이던 대규모 선물 매수 포지션을 청산하면 지수는 하락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반대로 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며 매수 전환이 나타나면 지수가 빠르게 반등하는 흐름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현물 종목, 특히.. 2025. 4. 20.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