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잉여금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 중에서 배당이나 기타 사용을 제외하고 남겨둔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내부에 쌓인 유보 이익으로, 재투자나 향후 배당 재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익잉여금의 수준과 추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배당 여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1. 이익잉여금의 개념
이익잉여금은 누적된 당기순이익에서 배당금 지급, 준비금 적립 등을 제한 후 남은 금액입니다. 손익계산서에서 발생한 이익이 재무상태표로 옮겨가 자본 항목에 반영된 형태로, 장부상 '이익잉여금'이라는 계정으로 관리됩니다. 이는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분류됩니다.
2. 이익잉여금의 용도
- 향후 배당 재원
-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 재투자
- 재무구조 개선 및 자사주 매입
- 손실 발생 시 손실 보전
이익잉여금은 현금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회계상 유보금이기 때문에 실제 유동성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3. 이익잉여금과 유보율의 관계
유보율은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얼마나 이익을 내부에 유보해왔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보율이 높을수록 재투자 여력이나 배당 여력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너무 높으면 배당을 하지 않고 돈을 쌓아두기만 한다는 부정적 시선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4. 주주 입장에서 확인할 부분
- 이익잉여금의 절대 규모 및 성장 추이
- 순이익 대비 유보 비중
- 유보금 증가에도 불구하고 배당이 적은 경우 → 배당성향 점검 필요
- 유보금을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에 활용하는지 여부
이익잉여금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에 유리한 것은 아니며, 실제 활용 방식이 중요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
정의 | 배당 등 사용 후 남은 누적 순이익 |
주요 용도 | 배당 재원, 재투자, 손실 보전, 자사주 매입 등 |
유보율 | 이익잉여금 ÷ 자본금, 유보 성향 판단 지표 |
주의 사항 | 유보금은 회계상 수치로 실제 현금 보유액과 다를 수 있음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보율이란? 이익 재투자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 (1) | 2025.04.12 |
---|---|
부채비율이란? 기업의 재무 건전성 판단 기준 (0) | 2025.04.11 |
현금흐름표란? 기업의 자금 흐름 보는 법 (0) | 2025.04.10 |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의 차이 (0) | 2025.04.10 |
CB와 BW란? 전환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의 개념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