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옵션이란? 권리를 사고파는 파생상품

by ketopia 2025. 4. 18.
반응형

옵션은 미래에 특정 자산을 일정 가격에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파생상품입니다.
선물이 ‘의무’ 계약인 반면, 옵션은 투자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더 유연한 구조를 가지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 산정 방식도 정교합니다.
한국 시장에서는 코스피200 옵션이 대표적으로 거래됩니다.

1. 옵션의 기본 개념

옵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콜옵션(Call): 일정 가격에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
- 풋옵션(Put): 일정 가격에 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

옵션의 매수자는 권리를 갖지만, 반드시 행사할 필요는 없고 매도자는 상대의 권리 행사에 따라 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

2. 코스피200 옵션의 특징

코스피200 옵션은 지수를 기준으로 한 파생상품이며, 만기일과 행사가격, 권리 유형(콜/풋)에 따라 수천 개의 종목이 존재합니다. 레버리지가 매우 크기 때문에 소액으로도 큰 수익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손실도 빠르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3. 옵션 가격 구성 요소

옵션의 가격(프리미엄)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 내재가치: 현재 기준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금액
- 시간가치: 만기 전까지 가격이 유리하게 바뀔 가능성에 대한 기대

옵션은 시간이 지나면 시간가치가 줄어들기 때문에 매수자 입장에서는 시간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구조입니다.

4. 옵션 수급과 투자 시 유의점

- 외국인은 옵션 시장에서도 방향성 포지션을 자주 취함
- 옵션 만기일에는 지수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커질 수 있음
- 프리미엄(옵션 가격)은 시장 변동성(VIX)과도 밀접하게 연동됨
- 단기 매매가 많은 구조이므로, 경험 없이 진입하는 것은 위험

📌 요약 정리

항목 설명
기본 개념 자산을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
종류 콜옵션(매수권), 풋옵션(매도권)
가격 구성 내재가치 + 시간가치
유의점 높은 레버리지, 단기 변동성 주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