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에는 만기일이 존재합니다.
선물이나 옵션은 일정한 기간 동안만 효력을 가지며, 만기일이 도래하면 자동 종료되거나 청산됩니다.
이 만기일에는 대규모 포지션 청산, 롤오버, 차익거래 등이 집중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수급과 변동성에 일시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선물·옵션의 만기 구조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요 파생상품의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코스피200 선물: 매 분기 셋째 목요일
- 코스피200 옵션: 매월 셋째 목요일
이 두 가지가 동시에 만기를 맞는 날을 '동시만기일(Triple Witching Day)'이라고 하며, 선물, 옵션, 주식 현물 간 연계 포지션이 한꺼번에 정리되는 시점으로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만기일에 발생하는 주요 현상
- 차익거래 청산: 프로그램 매매로 연결된 선물·현물 포지션 해소
- 롤오버(포지션 이월): 기존 포지션을 다음 만기 계약으로 이전
- 인위적 수급 왜곡: 기관이나 외국인이 가격을 조정하려는 움직임 발생 가능
- 변동성 확대: 거래량 급증, 단기 급등락 발생 가능성 증가
3. 투자자 입장에서의 해석
만기일 자체는 예측 가능한 이벤트이지만, 그날의 가격 흐름은 포지션 규모나 시장 심리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선물 포지션 청산 방향은 지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옵션 만기에는 특정 행사가격으로 주가가 유도되는 '만기 게임'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4. 대응 전략과 유의점
- 만기일 전후 이틀은 단기 변동성 확대에 유의
- 장기 투자자라면 과도한 해석보다 추세 유지 여부에 집중
- 파생상품 기반 ETF(레버리지/인버스) 투자자는 만기 효과가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체크 필요
📌 요약 정리
항목 | 설명 |
---|---|
만기일 | 선물/옵션 계약의 종료 시점 |
동시만기일 | 선물·옵션·현물 포지션이 한날 정리되는 시점 |
주요 현상 | 청산, 롤오버, 수급 변동, 변동성 확대 |
투자 유의점 | 단기 급등락 주의, 장기 투자자는 과도한 반응 자제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과 현물은 어떻게 연결될까? 프로그램 매매의 원리 (1) | 2025.04.21 |
---|---|
선물·옵션 만기일, 실제 시장에서는 이렇게 움직인다 (0) | 2025.04.20 |
옵션이란? 권리를 사고파는 파생상품 (0) | 2025.04.18 |
선물이란? 미래의 가격에 투자하는 계약 (0) | 2025.04.17 |
기관·외국인·개인 투자자의 수급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