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은 일정한 미래 시점에 특정 자산을 정해진 가격에 사기로 약속하는 거래 계약입니다.
현물(실제 자산)을 지금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가격 변동을 예상해 투자하거나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지수 선물, 금리 선물, 원자재 선물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한국 시장에서는 코스피200 선물이 대표적입니다.
1. 선물의 기본 구조
선물은 거래소에서 표준화된 계약 단위로 거래되며, 매수자는 미래에 자산을 “사겠다”, 매도자는 “팔겠다”는 의무를 갖습니다.
결제는 대부분 실물 인도 대신 차액 정산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예치금(증거금)을 기반으로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합니다.
2. 코스피200 선물이란?
코스피200 선물은 코스피200 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한 파생상품입니다.
이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200개 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국내 선물 시장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상품 중 하나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시장 방향성에 대한 포지션을 취할 때 자주 사용하며, 지수의 흐름을 선행하거나 왜곡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3. 레버리지와 위험 요소
선물은 소액의 증거금으로 큰 규모의 거래가 가능해 수익률이 몇 배로 확대될 수 있지만, 손실도 그만큼 빠르게 발생합니다.
또한 만기일이 존재해, 단기 가격 예측 실패 시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물은 단기 투자나 헤지 목적 외에는 일반 투자자에게 고위험 상품으로 분류됩니다.
4. 투자 활용과 기관 수급 해석
- 외국인의 선물 순매수는 상승 기대 심리를 나타낼 수 있음
- 기관은 프로그램 매매와 선물 연계 전략으로 유입·이탈
- 선물 포지션 변화는 시장의 방향성 예측 신호로 해석 가능
- 단, 선물만으로 방향을 단정 짓는 것은 위험할 수 있음
📌 요약 정리
항목 | 설명 |
---|---|
기본 개념 | 미래 가격에 자산을 사고파는 계약 |
대표 상품 | 코스피200 선물 |
특징 | 레버리지 효과, 만기 존재, 차익 결제 |
유의점 | 고위험 상품, 수급 신호는 보조 판단 도구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기일 효과란? 주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0) | 2025.04.19 |
---|---|
옵션이란? 권리를 사고파는 파생상품 (0) | 2025.04.18 |
기관·외국인·개인 투자자의 수급 (0) | 2025.04.16 |
IPO란? 기업이 상장하기까지의 과정 (0) | 2025.04.15 |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 (시장 구조가 투자 전략을 바꾼다)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