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기업의 주식이라도 보통주와 우선주는 주가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차이를 ‘괴리율’이라 하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괴리율은 단순한 가격 차이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시장 심리나 수급 상황, 배당 정책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1. 괴리율의 정의와 계산 방식
보통주와 우선주의 괴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괴리율(%) = (보통주 가격 - 우선주 가격) ÷ 보통주 가격 × 100
예를 들어 보통주가 50,000원이고 우선주가 35,000원이라면 괴리율은 30%입니다.
이는 우선주가 보통주 대비 30%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2. 괴리율이 존재하는 이유
괴리율은 보통 우선주의 의결권 부재, 낮은 유동성, 시장 내 수요 부족 등에서 비롯됩니다. 투자자들은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으며, 우선주는 거래량이 적고 배당 외의 이익 실현 수단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할인 요인이 발생합니다.
3. 괴리율이 줄어드는 경우
우선주의 거래량이 증가하거나, 배당 정책이 강화되면 괴리율은 축소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선주 배당금이 인상되거나, 시장에서 고배당 종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우선주가 주목받게 되어 주가가 상승하고, 보통주와의 가격 차이가 좁혀질 수 있습니다.
4. 괴리율 확대가 의미하는 바
괴리율이 지나치게 커진다는 것은 우선주가 시장에서 외면받고 있거나, 수급이 일시적으로 불균형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단기적인 매매 기회로 작용할 수 있지만, 배당 중단 가능성 등 근본적인 리스크가 반영된 것인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5. 괴리율을 활용한 투자 전략
괴리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벌어졌을 때, 우선주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배당정책, 유동성, 거래량 등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하며, 괴리율이 줄어들 것이라는 근거 있는 전망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설명 |
---|---|
괴리율 정의 | 보통주와 우선주 간 주가 차이 비율 |
계산 공식 | (보통주 - 우선주) ÷ 보통주 × 100 |
괴리 발생 이유 | 의결권 유무, 유동성 차이, 시장 수요 등 |
축소 요인 | 배당 강화, 거래량 증가 등 |
활용 팁 | 우선주 저평가 판단 시 분할매수 고려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면가란? 주식의 기준 단가 (0) | 2025.04.07 |
---|---|
배당락이란? 배당 투자자의 주가 변동 이해법 (0) | 2025.04.07 |
우선주와 보통주의 차이 (0) | 2025.04.07 |
주식 분할과 병합, 투자자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07 |
발행주식수와 유통주식수의 차이 (0) | 2025.04.07 |